목표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세싱을 이용해서 GUI 환경에서 AP 모드인 ESP8266을 컴퓨터에서 와이파이 모듈로 접속을 해서 프로세싱으로 스크롤바를 움직이면 그 움직인 값에 따라서 드론의 croess 모터들이 회전하도록 하는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이전 아두이노 IDE에서 작성을 해야하는 소스코드는 밑에 링크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드론 모터속도 조절하기 아두이노 IDE편* GUI 환경 작업을 하기위한 'controlP5' 라이브러리 설치 controlP5는 사용자 정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GUI 라이브러리라고 합니다. 소스코드 import controlP5.*; import processing.net.*; //network communication ControlP5 cp5; //contr..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세싱으로 GUI를 구성해서 ESP8266과 연결된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마우스 휠을 움직이면 움직인 만큼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게 하는 프로젝트를 작성해보겠습니다. 여기서 파일명은 throttle라고 설정을 해주세요 그 이유는!! 이러한 의미때문입니다. throttle가 모터 등의 추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종장치를 의미한다고 하네요 해야할 순서는 '아두이노 IDE 프로그램 작성하기 -> 프로세싱 스케치 프로그램 작성하기 -> AP 모드의 ESP8266과 연결하기 -> 최종 테스트 1. 아두이노 IDE 프로그램 작성하기 여기서는 사용자(클라이언트)로부터 모터의 속도를 입력을 받아서 모터의 속도를 직접적으로 조절을 해주기 위한 목적이 있습니다.[ESP8266 WiFi 모듈과 연결해서 속도를 ..
일반적으로 고가의 드론용 모터에는 BLDC 모터(브러시가 없는 모터)가 이용이 됩니다. BLDC 모터는 DC 모터의 일종입니다. BLDC 모터의 소개BLDC 모터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코일 내의 전원의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하는 브러시가 없습니다.대신 모터의 내부 주변에 코일이 원통에 고정이 되어있어서 동작을 하게 되면 몸통이 돌아가므로 DC모터와는 다르게 BLDC 모터의 몸통을 잡고있으면 모터가 타버려서 망가집니다. 또한 BLDC 모터는 따로 컨트롤러를 이용해서 구성해야지만 구동이 되는 단점이 있지만 단점이 있으면 장점이 있는 법! 수명이 매우 길고 마찰이 적어 고속동작이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모터는 마찰이 적어야되는 우주 항공 분야, 의료 분야, 반도체, 측정기, 로봇 등 정밀제어가 필요한 분야에서 ..